중국 철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 철학은 다양한 사상 유파가 경쟁하며 발전해 온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다. 주나라 시대의 혼란기에 등장한 제자백가(諸子百家)는 유가, 도가, 묵가, 법가 등 다양한 학파를 형성하며 중국 철학의 기초를 다졌다. 이후 한무제 시대에 유교가 국교로 채택되면서 문헌경학이 발달했고, 위진 시대에는 노장학, 현학이 부흥했다. 송나라 시대에는 신유학(성리학)이 등장하여 유교를 재해석했고, 명나라 말 청나라 초에는 실학이 발달하여 실사구시를 강조했다. 근현대에는 서양 철학의 영향을 받아 민주주의, 공화주의, 산업주의 등의 개념을 수용했으며, 중국 공산당 집권 이후 마르크스주의와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철학이 강조되었다. 현대 중국 철학은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의 사상을 융합하며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신유가주의를 통해 유교의 현대적 재해석을 시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 철학 -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은 시진핑이 중국 최고 지도자가 된 이후 발전하여 중국공산당의 지도 이념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중국 특색 사회주의를 강조하고 권력 집중, 인권 침해 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 중국 철학 - 마오쩌둥 사상
마오쩌둥 사상은 중국 공산주의 운동의 지도 이념으로, 모순론, 실천론, 계속혁명론 등을 핵심 내용으로 하며, 반수정주의, 반제국주의, 인민전쟁 등의 이론을 제시했다. - 제자백가 - 장자
장자는 중국 전국 시대의 철학자로, 《장자》를 저술하여 개인의 자유와 무위자연의 삶을 추구했으며 노장사상으로 도교에 영향을 미쳤다. - 제자백가 - 도덕경
《도덕경》은 노자가 지은 도가 사상의 핵심 경전으로, 도(道)와 덕(德)을 중심으로 무위자연(無爲自然)을 강조하며 유가 사상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제시하고 후대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다양한 판본과 해석을 통해 동서양에서 현대 사회의 지혜를 담은 문헌으로 평가받는다.
중국 철학 | |
---|---|
중국 철학 개요 | |
![]() | |
주요 학파 및 사상 | |
제자백가 | 유가 도가 법가 묵가 |
한 불교 | 천태종 (지의) 화엄종 (법장, 규봉종밀) 삼론종 (길장) 선종 밀교 |
티베트 불교 | 사캬파 (사캬 판디타) 닝마파 (롱첸파) 겔룩파 (총카파) 4가지 법리 체계 랑통-셴통 자유귀추논증학파-귀류논증학파 구분 |
마오쩌둥 사상 | 마오쩌둥 |
일반 개념 | |
주요 인물 | |
유가 | |
주요 개념 | 체면 효 꽌시 인 예 지행합일 (선한 본성 이론) (악한 본성 이론) |
도가 | |
주요 개념 | 도 음양 무위 |
2. 백가쟁명 시기
백가쟁명(百家爭鳴) 시기는 주나라(기원전 1046-256)의 봉건 국가 체제가 무너지고 진시황(기원전 259-210)과 한무제(재위: 기원전 141-87)가 강력한 중앙집권적 전제군주 체제를 확립하던 기원전 550년경부터 기원전 110년경까지의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도가(道家), 유가(儒家), 음양가(陰陽家), 묵가(墨家), 법가(法家), 명가(名家), 종횡가(縱橫家), 농가(農家), 병가(兵家), 소설가(小說家), 잡가(雜家) 등 11개 사상 유파들이 발생하여 활약하였다. 이들 사상가들은 당시 군주들의 부국강병(富國强兵)과 회맹정벌(會盟征伐) 등의 정치적 요구에 부응하거나, 자기 유파의 이상(理想)을 실현하기 위해 학설과 주장을 내세우고 다른 유파의 학설과 주장을 비판, 공격하였다. 이를 통해 자신과 자기 유파의 평판을 높이거나, 특출한 장기나 기술을 발휘하여 정계에 등용됨으로써 자기 유파의 이상을 실현하려 하거나, 개인적인 부귀와 공명을 얻으려 하였다.
이 시기의 11개 유파를 제자백가(諸子百家)라 하고, 이 유파들이 서로 자신의 사상 또는 철학을 실현하기 위해 다투었던 당시의 시대적 현상을 "백가쟁명(百家爭鳴)"이라고 한다.
이들 11개 유파의 구별은 《한서》〈예문지〉의 저자가 당시 중앙정부 서고에 보관 중이던 서적들을 분류하기 위해 만든 임의의 구별로, 엄격한 의미의 정확한 사상사적 분류라고 볼 수는 없다.
2. 1. 주요 학파
제자백가 시기에는 유가, 도가, 묵가, 법가, 음양가, 명가 등 6개 학파가 독자적인 철학과 학설을 가지고 대립하며 중국 철학의 기반을 다졌다.[5] 종횡가, 병가, 농가, 소설가, 잡가는 사상사적 학파로 보기 어려워 제외하는 것이 타당하다.학파 | 특징 |
---|---|
유가 | 공자(孔子: 기원전 551-479)와 맹자(孟子: 기원전 372?-289?)를 중심으로,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의 인도주의와 문질빈빈(文質彬彬)의 합리적 인생관을 특징으로 한다. |
도가 | 노자(老子: ?-?)와 장자(莊子: 기원전 369?-286)를 중심으로, 무위자연(無爲自然)의 천도사상과 유약겸하(柔弱謙下)·소요자적(逍遙自適)의 인생관을 특징으로 한다. |
묵가 | 묵자(墨子: 기원전 470?-391?)를 중심으로, 천지(天地)·명귀(明鬼)의 종교 관념과 겸애(兼愛)·비공(非功)의 반전사상을 특징으로 한다. |
법가 | 통치자는 법(法), 술(術), 세(勢)의 삼위일체로 백성을 다스려야 한다는 정치 철학이다. |
음양가 | 음양과 오행의 개념을 통합하여 우주를 설명하고자 한 학파이다. 추연이 창시자로 여겨진다. |
명가 | 논리, 역설, 이름, 현실에 관심을 가졌으며, 공자의 정명(正名)과 유사한 면이 있었다. |
2. 2. 대표 사상
도가는 무위자연(無爲自然)의 천도사상과 유약겸하(柔弱謙下)·소요자적(逍遙自適)의 인생관을 특징으로 한다.[5] 유가는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의 인도주의와 문질빈빈(文質彬彬)의 합리적 인생관을 특징으로 한다.[5] 묵가는 천지(天地)·명귀(明鬼)의 종교 관념과 겸애(兼愛)·비공(非功)의 반전사상을 특징으로 한다.[5]3. 문헌경학 시기
문헌경학 시기(기원전 110년경 ~ 기원후 220년경)는 전한(기원전 206-기원후 8) 무제(재위: 기원전 141-87)부터 후한(25-220) 말기까지의 시기이다.
선진 시대(先秦時代: 기원전 221 이전) 제자백가가 백가쟁명하던 사상은 한 무제 때 유학자 동중서(기원전 c.176-104)의 제안으로 유학이 국교화되면서 변화를 맞이하였다. 유학은 종교적인 지위를 가진 유교로 국가 이념의 중심이 되었다.
3. 1. 유학의 국교화
한 무제(재위: 기원전 141-87) 때 동중서(기원전 c.176-104)의 제안으로 유가가 존대받게 되었다. 이에 따라 학문으로서의 유학은 종교적 지위의 유교가 되어 국가 이념과 정책의 기본 방침이 되었다. 모든 문물, 제도, 윤리, 도덕은 유가의 경전인 《시경》, 《서경》, 《역경》, 《예기》, 《악(樂)》, 《춘추》, 《논어》에 근거하여 만들어졌다.[6]국가에서는 유학에 근거한 교화를 목적으로 경학박사 제도를 두어 유교 경전을 전문적으로 연구하고 가르치게 하였다. 진시황 때의 분서갱유로 인해 경전 텍스트가 흩어져 상실되거나 착간(錯簡)된 경우가 많았다. 이를 복원하기 위해 유학박사들은 경전의 자구를 교정하고 해석하며, 장과 절을 순서에 맞게 편집하고, 같은 내용의 여러 책을 비교하여 차이를 바로잡는 작업을 수행했다.[6]
전한과 후한을 통틀어 양한 시대(기원전 206-기원후 220) 동안, 금문학파와 고문학파 간의 논쟁은 있었지만, 당시 학자들의 성과는 주로 유교 경전에 대한 문헌 해석 작업에 한정되었고, 유교 사상과 내용 면에서는 새로운 발전이 없었다. 그래서 이 시기를 문헌경학 시기라고 한다.[6]
3. 2. 금문학파와 고문학파
전한과 후한의 양한 시대(兩漢時代: 기원전 206-기원후 220) 동안, 금문학파(今文學派)와 고문학파(古文學派) 간의 경전 해석 논쟁이 있었지만, 유교 사상과 내용 면에서는 새로운 발전이 없었다.[12]금문학파는 공자를 신적인 존재로 여겼으나, 고문학파는 공자를 위대한 현자이지만 인간으로 간주했다.[12]
4. 노장학·현학 주류 시기
한나라 시대의 훈고학과 참위, 상수, 재이와 같은 미신에 대한 반발로, 하안, 왕필, 상수, 곽상 등은 노장사상에 기반한 유가 경전 해석을 내놓았다. 이들은 《도덕경》과 《장자》에 대한 새로운 주석을 제시하여, 노자와 장자는 다시 시대의 주목을 받았고, 주류 인생관과 세계관은 유학에서 노장학으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현학은 유가와 도가를 융합하여, 왕필, 향수, 곽상 등이 『주역』, 『도덕경』, 『장자』를 재해석한 학파이다. 이들은 존재가 비존재에 앞서는가 하는 문제를 다루었으며, "풍류"라 불리는, 자연스럽고 본능적인 충동에 따르는 낭만적인 정신을 추구했다.
4. 1. 노장사상의 부흥
노장학한나라 시대의 훈고
그리하여 허무자연(虛無自然)
4. 2. 죽림칠현과 도연명
노장사상과 현학이 주류를 이루던 위진 시대에는 현실 도피적인 인생관이 주류를 이루었다. 이러한 사조 속에서 예속과 명교(유교)를 타파하려 했던 죽림칠현과, "동쪽 울 밑에서 국화를 꺾어 들고, 멀리 남산을 바라본다"라는 시구를 남긴 도연명 같은 인물들이 나타났다. 도연명은 자연 속에서 유유자적하는 삶을 추구했다.[15]5. 불교 주류 시기
불교 주류 시기(기원후 405년 ~ 819년)는 동진(317-420) 말기부터 남북조 시대(420-589), 수나라(581-618)를 거쳐 당나라(618-907) 말기까지 약 400년 간의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불교가 융성하고 중국 고유의 불교 종파들이 성립되었다.
405년은 서역 구자국 출신 승려 구마라습(344-413)이 후진의 국사가 된 해로, 중국 불교 융성의 기점이 된다. 819년은 한유(768-824)가 불교배척론을 처음 주장한 해로, 불교 쇠퇴의 기점이 된다. 불교는 전한(BC 206-AD 8) 애제(재위 BC 7-BC 1) 때 전래되었다는 설이 있을 정도로 오래전에 중국에 들어왔다.
구마라습 이전에도 서역의 승려들이 중국에 와서 전교와 역경을 하였고, 동진의 지둔,[69] 도안,[70] 혜원[70] 등은 노장사상과 불교사상을 비교하여 노장의 술어로 불교사상을 해석하는 격의불교를 시도했다.[71][72] 축법호는 밀교 경전을 번역하기도 했다.
남북조 시대
이 중 가장 중국화된 불교인 선종은 불립문자
당 헌종(재위 805-820)이 부처의 사리를 영입하는 것에 대해 한유(768-824)가 상소하여 불교배척론을 처음 주장한 819년은 중국에서 불교가 쇠퇴하게 되는 기점이 된다.[74] 당나라 중기에 불교는 절정에 달해 사찰과 승려의 수가 크게 늘고 재산도 많아졌는데, 유교 학자들은 이를 외래 종교로 간주하여 비판했다.[35] 845년 당 무종은 회창의 폐불을 명하여 불교 재산을 몰수하고 승려와 비구니를 속세로 돌려보냈다.[35] 그 이후로 불교는 많은 영향력을 잃었다.[35] 후대의 원나라(1271-1368)와 명나라(1368-1644) 때에는 다른 불교 종파가 다 쇠퇴하였으나 선종의 북종만은 오히려 번성하였다.[88]
5. 1. 구마라습과 불경 번역
405년 서역 구자국에서 태어나 중국으로 초빙된 승려 구마라습(344-413)이 오호 십육국 시대 후진(384-417)의 제2대 황제 요흥(재위 394-416)의 국사가 되면서, 장안에서 8백여 고승들을 데리고 불경 번역을 대규모로 일으켰다. 이로써 중국의 불교는 최전성기에 들어서게 되었다.[74]구마라습 이전에도 서역의 승려들이 중국에 와서 전교와 역경을 하였고, 동진(317-420)의 지둔(314-366)[69], 도안(312-385), 혜원(335-417[70]) 등은 노장사상과 불교사상을 비교하여 노장의 술어로 불교사상을 해석하는 격의불교(格義佛敎)를 시도했다.[71][72] 축법호(fl. 266-313[73])는 밀교 경전을 번역하기도 했다.
5. 2. 중국 불교 종파의 성립
불교는 남북조 시대(420-589)13개 종파는 오
각 종파의 소의 경전 또는 논서
종파 | 소의 경전 또는 논서 | 시조 | 성립 연대 | 나라 |
---|---|---|---|---|
정토종 | 정토삼부경 (관무량수경 | 혜원 | 373년[75][76] | 동진(317-420)[77] |
삼론종 | 삼론 (중론 | 구마라습 | 404년-409년[78] | 후진(384-417: 오호 십육국)[79] |
성실종 | 성실론 | 구마라습 | 411년-412년 | 후진(384-417: 오호 십육국)[80] |
열반종 | 대반열반경 (북본열반경) | 담무참 | 412년[81] 또는 421년[82] | 북량(397-439: 오호 십육국) |
율종 | 사분율 | 혜광 | 468년-537년 | 북위(386-534: 북조)[86][87][83][84][85] |
지론종 | 십지경론 | 혜광 | 468년-537년 | 북위(386-534: 북조)[86][87][85] |
선종 | 불립문자 | 달마 | 520년[88][89] | 양(502-557: 남조)[90] |
섭론종 | 섭대승론 | 진제 | 563년[91] | 진(557-589: 남조)[92] |
천태종 | 법화경 | 지의 | 594년[93][94] | 수나라(581-618)[95][96] |
구사종 | 구사론 | 현장 | 654년[97] | 당나라(618-907)[98] |
법상종 | 해심밀경 | 현장 | 659년[99] | 당나라(618-907)[98][100][101] |
화엄종 | 화엄경 | 법장 | 699년[102] | 당나라(618-907)[103] |
진언종 | 대일경 | 선무외 | 716년 | 당나라(618-907)[104][105] |
위의 13개 종파 중 가장 중국화된 불교인 선종은 특별한 발달을 보였다. 선종은 이론을 반대하고 실천을 중시하는 불교로 불립문자
5. 3. 불교 배척론
당 헌종(재위 805-820)이 부처의 사리를 영입하는 것에 대해 한유(768-824)가 상소하여 불교배척론을 처음 주장한 819년은 중국에서 불교가 쇠퇴하게 되는 기점이 된다.[74] 당나라 중기에 불교는 절정에 달해 사찰과 승려의 수가 크게 늘고 재산도 많아졌는데, 유교 학자들은 이를 외래 종교로 간주하여 비판했다.[35] 845년 당 무종은 회창의 폐불을 명하여 불교 재산을 몰수하고 승려와 비구니를 속세로 돌려보냈다.[35] 그 이후로 불교는 많은 영향력을 잃었다.[35]6. 신유학·성리학 시기
신유학·성리학 시기(820년 ~ 1644년)는 당나라 말기부터 5대, 북송, 남송, 원나라를 거쳐 명나라 말기까지 약 800년간 지속되었다.
이 시기는 위진, 남북조, 수나라, 당나라의 약 700년 동안 노장 사상과 불교 사상의 영향으로 침체되었던 유학이 이 두 사상의 이론을 흡수, 소화하여 성리학(性理學)이라는 새로운 이론 체계를 수립한 때이다. 성리학은 노장 사상과 불교 사상에 반격하여 유교의 정통적 지위를 회복하고 새로운 발전을 이루었기에, 철학사에서는 이 시기를 신유학 혹은 송명이학의 시대라고 부른다.
이학 즉 성리학은 성즉리, 거경궁리, 격물치지를 주장하는 정주학파와 심즉리, 치양지, 지행합일을 주장하는 육왕학파로 나뉜다. 흔히 성리학이라고 하면 정주학파의 유학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으며, 이 경우 육왕학파의 유학은 양명학 또는 심학이라고 한다.
6. 1. 성리학의 발전
주자, 육상산, 왕수인 등은 성리학의 대표적인 학자들이다. 북송 시대에는 주돈이(주염계), 장재(장횡거), 정호(정명도), 정이(정이천), 소옹(소강절) 등이 성리학의 이론 체계를 수립했다.[106] 이들은 노장 사상과 불교 사상의 이론을 흡수, 소화하여 새로운 유학인 성리학을 발전시켰다.남송 시대에는 정주학파의 주희(주회암)와 육왕학파의 육구연(육상산)이, 명나라 시대에는 육왕학파의 왕양명이 성리학을 대표했다.
성리학은 성즉리(性卽理), 거경궁리(居經窮理), 격물치지(格物致知)를 주장하는 정주학파와, 심즉리(心卽理), 치양지(致良知), 지행합일(知行合一)을 주장하는 육왕학파로 나뉜다. 거경궁리는 마음을 한결같이 하여 자신의 본래 성품에 따르는 것에서 사물의 이치를 탐구하는 것이며, 격물치지는 각각의 사물에 대해 그 이치를 탐구하여 앎을 명확히 하는 것이다.[106] 치양지는 격물이 마음을 바로잡는 것이며, 마음을 바로잡는 것을 통해 마음의 본체인 양지에 이르는 것이다.[107] 흔히 성리학이라고 하면 정주학파의 유학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으며, 이 경우 육왕학파의 유학은 양명학 또는 심학이라고 한다.
성리학은 성선설에 기반하여 인간 정신의 내적 수련인 "알인욕 존천리(遏人慾存天理: 사욕을 막고 천리를 보존하다)"의 실천을 강조했다.
6. 2. 성리학의 특징
성리학의 특징은 성선설에 근거하여 "알인욕7. 실학·고증학 시기
명나라(1368-1644) 말기부터 청나라(1616-1912) 말기까지는 성리학의 공리공론을 비판하고 실사구시(實事求是)를 강조하는 실학파가 등장한 시기이다. 이들은 경세치용(經世致用)과 이용후생(利用厚生)을 중시하고, 고증적 방법을 통해 학문을 연구하였다.
7. 1. 실학파의 등장
명나라 말기, 만주족에게 나라를 빼앗긴 후 유능하지만 초야에 묻혀있던 선비(유일, 遺逸)들은 학문에 대한 반성을 시작했다. 이들은 망국의 원인을 성리학의 공리공론(空理空論)으로 돌리는 경향이 짙었다. 이에 실사구시(實事求是)를 내세우는 실학파가 등장했다.실학파는 송나라·명나라 시대 성리학의 주정적(主靜的) 심성존양(心性存養) 공부를 노장 사상과 불교 사상이 모습만 달리한 것 뿐이라고 비판하고, 경세치용(經世致用)과 이용후생(利用厚生)의 실천과 행동을 강조하였다. 또한 경전 해석에 있어서도 송나라 유학자들의 의리(義理: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에만 치중하는 사변적 해석을 부정하고, 사실의 증거를 찾아내는 고증적 방법을 채택하였다. 이들은 서양의 과학사상을 수용하고, 경서(經書)와 자서(子書)의 차별 관념을 타파하여 학문 정신에 자유를 주었다.
실학파의 대표적인 인물로는 염약거(1636-1704), 고염무(1613-1682), 안원(1635-1704), 대진(대동원, 戴東原: 1724-1777), 완원(1764-1849), 손이양(1848-1908), 왕염손(1744-1832), 유월(1821-1906), 왕선겸(1842-1917) 등이 있다.
7. 2. 대표적인 실학자

실학파의 대표적인 인물로는 염약거(1636-1704), 고염무(1613-1682), 안원(1635-1704), 대진(1724-1777), 완원(1764-1849), 손이양(1848-1908), 왕염손(1744-1832), 유월(1821-1906), 왕선겸(1842-1917) 등이 있다.
8. 근현대 철학
산업 시대와 현대 시대에 중국 철학은 서양 철학의 개념을 통합하기 시작했다. 고대 중국어에는 인권에 해당하는 단어가 없었기 때문에, 1864년 윌리엄 알렉산더 파슨스 마틴은 헨리 휘튼의 『국제법 원리』를 고전 중국어로 번역하면서 서양의 '권리' 개념을 번역하기 위해 ''취안리''(權利)라는 단어를 만들어야 했다.[25]
8. 1. 신해혁명과 5.4 운동
1911년 신해혁명 즈음에는 중국의 낡은 제국 제도와 관습을 완전히 폐지하자는 5·4 운동과 같은 많은 요구가 있었다. 20세기 초 쑨원을 중심으로 민주주의, 공화주의, 산업주의를 중국 철학에 통합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마오쩌둥은 마르크스주의, 스탈린주의, 중국 마르크스주의 철학, 그리고 기타 공산주의 사상을 더했다.[25]8. 2. 중국 공산당 집권 이후
중국 공산당이 1949년 중국 내전에서 승리한 후, 법가를 제외한 이전의 사상들은 시대에 뒤떨어진 것으로 비난받았고,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사구 타파 운동의 일환으로 숙청되었다.[26]시진핑 시대의 중국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이 중국 철학의 부흥을 장려했다. 2024년, 화둥 사범대학은 중국 철학 연구를 증진하기 위해 중국 주자 연구소를 설립했다.[27]
9. 현대의 중국 철학
19세기 및 20세기에 중국 철학은 서양 철학의 개념과 통합되었다. 신해혁명에 참여한 반청 혁명파는 서양 철학을 전통 철학을 대체하는 것으로 간주했고, 5.4 운동을 배운 자들은 중국의 낡은 황제제와 그 실천을 완전히 폐지할 것을 요구했다. 이 시기, 중국 학자들은 민주주의, 마르크스주의, 사회주의, 자유주의, 공화주의, 민족주의와 같은 서양 철학의 이데올로기를 중국 철학에 결합시키려 했다. 그 대표적인 예는 쑨원의 삼민주의와, 마르크스-레닌주의의 변종인 마오쩌둥의 마오이즘이다.[34] 현대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덩샤오핑의 「사회주의 시장 경제」가 공식적인 이데올로기이다.
중국 공산당 집권 이후, 법가를 제외한 기존의 학파들은 후진적이라고 비난받았고, 문화 대혁명 시기에는 숙청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사상들은 여전히 중국 사상에 깊이 남아있다.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사회주의 시장 경제를 추진하고 있다.
문화 대혁명 이후, 중국 정부는 전통적인 신앙 행위에 대해 더 관용적인 태도를 보였다. 중화인민공화국의 1978년 헌법은 여러 제한을 두면서도 "신앙의 자유"를 인정하고 있다. 중국 공산당에 위협으로 간주되지 않는 한, 정신적·철학적인 관례는 구축 또는 재구축이 허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관례는 국가에 의해 엄격하게 감시되고 있다.) 이러한 영향은 여전히 중국 문화에 깊이 스며들어 있다. 일본과 마찬가지로, 중국에서도 철학은 새로운 개념을 받아들이면서도 옛 사상과의 조화를 추구하는 사상의 용광로가 되어 왔다. 중국 철학은 동아시아, 더 나아가 동남아시아 사람들에게 강한 영향을 계속 주고 있다.
9. 1. 신유교 (New Confucianism)
유교가 도교와 불교에 인기를 잃었음에도 불구하고, 신유학은 이러한 사상들을 보다 형이상학적인 틀에 결합했다. 신유학의 개념에는 ''리''(원리, 플라톤의 이데아와 유사), ''기''(생기 또는 물질적 힘), ''태극''(지극), 그리고 ''심''(마음)이 있다. 송나라 철학자 주돈이(1017–1073)는 도교적 형이상학을 그의 윤리 철학의 틀로 사용하면서, 일반적으로 신유학의 최초의 진정한 "선구자"로 여겨진다.[23]신유학은 전통적인 유교 사상의 부흥이자 불교와 종교적 도교의 사상에 대한 반작용으로 발전했다. 신유학자들은 불교의 형이상학을 비난했지만, 도교와 불교의 용어와 개념을 차용했다.[24] 주희와 왕양명은 신유학의 가장 중요한 인물로 여겨진다.


송명리학도 신유가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지만, 근대의 신유가와는 구별된다. 신유가는 유교의 지적 운동으로 20세기 초 중화민국에서 시작되어 포스트 마오쩌둥 시대의 중화인민공화국에서 부흥했다.
10. 한국 철학과의 연관성
중국 철학은 한국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유교, 불교, 도교는 한국인의 사상과 문화에 깊이 뿌리내렸다.
유교는 조선 시대 성리학이라는 이름으로, 주자학을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이황과 이이 등 뛰어난 성리학자들이 등장했다. 실학은 조선 후기 사회 개혁 사상으로 발전했으며, 박지원, 박제가, 정약용 등이 대표적인 실학자이다.
11. 결론
중국 철학은 다양한 사상이 융합된 용광로와 같으며, 새로운 개념을 수용하면서도 과거의 믿음을 존중한다. 일본과 마찬가지로, 중국 철학은 새로운 사상을 받아들이면서도 전통 사상과의 조화를 추구해 왔다.[11] 이러한 특징은 중국 철학이 동아시아, 더 나아가 동남아시아에까지 깊은 영향을 미치게 된 배경이 되었다.
특히, 중국 철학은 한국의 사상과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유교는 조선 시대의 지배적인 이념이었으며, 불교 역시 삼국시대부터 고려 시대까지 한국인의 정신세계에 큰 영향을 끼쳤다. 현대에도 중국 철학의 영향은 한국 사회 곳곳에 남아 있으며,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참조
[1]
서적
The Cambridge Illustrated History of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Great Thinkers of the Eastern World
Harper Collins
[3]
간행물
Philosophy in Han Dynasty China
https://plato.stanfo[...]
2022
[4]
논문
Confucian dynamism, culture and ethical changes in Chinese societies – a comparative study of China, Taiwan, and Hong Kong
http://www.tandfonli[...]
[5]
논문
Is There Such a Thing as Chinese Philosophy Arguments of an Implicit Debate
[6]
서적
Astronomy and Mathematics in Ancient China: The 'Zhou Bi Suan Jing'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01-18
[7]
서적
Unearthing the Changes: Recently Discovered Manuscripts of the Yi Jing (I Ching) and Related Texts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4-04-15
[8]
서적
Confucius
Hodder Arnold
[9]
서적
The Analects
https://archive.org/[...]
Penguin Classics
[10]
서적
Civilizations of the World: The Human Adventure : To the late 1600s
[11]
서적
Maoism
Hodder Arnold
[12]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World Philosophy
Oxford University Press
[13]
서적
The Cambridge Illustrated History of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논문
Socrates, Confucius, and the Rectification of Names
[15]
서적
A Source Book in Chinese Philosoph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8
[16]
백과사전
Zou Yan
https://www.britanni[...]
2011-03-01
[17]
서적
A companion to world philosophies
Wiley Blackwell
[18]
서적
Timing and rulership in Master Lü's Spring and Autumn annals
SUNY Press
[19]
서적
The Dynamics of Masters Literature: Early Chinese Thought from Confucius to Han Feizi
Harvard University Press
[20]
서적
Taoism and the Arts of China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1]
뉴스
Chinese Religions and Philosophies
https://asiasociety.[...]
2021-01-21
[22]
서적
The History of Japan
Greenwood Press
[23]
Harvnb
[24]
서적
Essentials of Neo-Confucianism: Eight Major Philosophers of the Song and Ming Periods
Greenwood Press
[25]
서적
Chinese Law: A Language Perspective
Ashgate Publishing
[26]
Citation
THREE To Protect and Preserve: Resisting the Destroy the Four Olds Campaign, 1966-1967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6-03-22
[27]
웹사이트
China looks beyond Confucius in latest move to win narrative war with West
https://www.scmp.com[...]
2024-12-01
[28]
웹사이트
中国思想文化学研究室
https://www.l.u-toky[...]
東京大学
2020-04-23
[29]
서적
The Cambridge Illustrated History of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
서적
Great Thinkers of the Eastern World
Harper Collins
[31]
서적
Civilizations of the World: The Human Adventure : To the Late 1600's
[32]
서적
Confucius
Hodder Arnold
[33]
서적
The Analects
Penguin Classics
[34]
서적
Maoism
Hodder Arnold
[35]
문서
森三樹三郎『老子・荘子』講談社学術文庫 Ⅳ-2「老子と神仙説・道教」
[36]
서적
A source book in Chinese philosophy
[37]
웹사이트
Zou Yan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2011-03-01
[38]
서적
A companion to world philosophies
Wiley Blackwell
[39]
서적
Timing and rulership in Master Lü's Spring and Autumn annals
SUNY Press
[40]
서적
The Dynamics of Masters Literature: Early Chinese Thought from Confucius to Han Feizi
Harvard University Press
[41]
서적
中国哲学とヨーロッパの哲学者(上)
明治書院
[42]
서적
知のユーラシア1 知は東から 西洋近代哲学とアジア
明治書院
[43]
간행물
ライブニッツとケンペルの儒教解釈 -ヨーロッパ啓蒙主義考-
https://hdl.handle.n[...]
宇都宮大学外国文学研究会
2014
[44]
서적
中国思想史
知泉書館
[45]
서적
東西シノロジー事情
東方書店
[46]
서적
近代「中国哲学」の起源
https://hdl.handle.n[...]
京都大学人文科学研究所附属現代中国研究センター
2013
[47]
학위논문
大学と漢学 : 東京帝国大学とその前身校における漢学および「支那哲学」の展開について
https://ci.nii.ac.jp[...]
[48]
문서
近代日本における中国哲学の誕生 明治十年代に東京大学で行われた諸講義を中心に
[49]
웹사이트
曹峰:《中国哲学史》与内田周平-中国社会科学网
http://cssn.cn/zhx/z[...]
2021-07-02
[50]
간행물
19世紀末における漢学と「支那哲学」 : 服部宇之吉の学問的可能性と清国留学への道程
https://researchmap.[...]
日本思想史・思想論研究会
2015-05
[51]
간행물
井上円了思想における中国哲学の位置
http://id.nii.ac.jp/[...]
東洋大学井上円了記念学術センター
[52]
간행물
梁啓超と日本の中国哲学研究
https://hdl.handle.n[...]
[53]
문서
桑木厳翼と中国哲学
[54]
간행물
蟹江義丸について
https://doi.org/10.1[...]
[55]
간행물
〈孟子の義〉研究史
https://doi.org/10.1[...]
大阪大学中国学会
[56]
서적
残響の中国哲学 言語と政治
東京大学出版会
[57]
서적
東西シノロジー事情
東方書店
[58]
간행물
諸子学与論理学:中国哲学建構的基石与尺度
上海市社会科学界聯合会
[59]
간행물
二十世紀中国哲学研究の詳察と新世紀の展望
https://hdl.handle.n[...]
筑波大学倫理学原論研究会
[60]
서적
中国革命の先駆者たち
筑摩書房
[61]
간행물
李塨の立場 -顏李學派の再考のために-
https://hdl.handle.n[...]
早稻田大學東洋哲學會
[62]
서적
西学東漸と東アジア
岩波書店
[63]
서적
戴震と中国近代哲学 漢学から哲学へ
知泉書館
[64]
서적
荘子の哲学
講談社
[65]
웹사이트
津田左右吉の学問と姿勢—没後五十年津田左右吉展に際して—
https://yab.yomiuri.[...]
"[[読売新聞]]・[[早稲田大学]]"
2011
[66]
서적
中国古典学のかたち
"[[研文出版]]"
[67]
서적
「東アジアに哲学はない」のか 京都学派と新儒家
岩波書店
[68]
간행물
「知の問題」と「哲学の合法性」との関連 : 東アジア「近代知」の反省にあるべき一視点について
https://aichiu.repo.[...]
愛知大学国際コミュニケーション学会
[69]
문서
支遁(지둔)
http://buddha.donggu[...]
2011-03-17
[70]
문서
慧遠(혜원)
http://buddha.donggu[...]
2011-03-17
[71]
문서
격의
https://ko.wikisourc[...]
[72]
문서
격의불교
https://ko.wikisourc[...]
[73]
웹인용
竺法護(축법호)
http://buddha.donggu[...]
운허 & 동국역경원
2011-03-17
[74]
웹인용
鳩摩羅什(구마라집)
http://buddha.donggu[...]
운허 & 동국역경원
2011-03-17
[75]
웹인용
淨土宗(정토종)
http://buddha.donggu[...]
운허 & 동국역경원
2011-03-17
[76]
웹인용
慧遠(혜원)
http://buddha.donggu[...]
운허 & 동국역경원
2011-03-17
[77]
문서
정토교
https://ko.wikisourc[...]
[78]
서적
한국 고대 불교 사상사
동국대학교 출판부
[79]
문서
삼론종
https://ko.wikisourc[...]
[80]
문서
성실종
https://ko.wikisourc[...]
[81]
웹인용
涅槃宗(열반종)
http://buddha.donggu[...]
운허 & 동국역경원
2011-03-17
[82]
문서
열반종
https://ko.wikisourc[...]
[83]
문서
율종
https://ko.wikisourc[...]
[84]
웹인용
慧光(혜광)
http://buddha.donggu[...]
운허 & 동국역경원
2011-03-17
[85]
웹사이트
열반종 (涅槃宗)
http://100.naver.com[...]
[86]
문서
지론종
https://ko.wikisourc[...]
[87]
웹인용
地論宗(지론종)
http://buddha.donggu[...]
운허 & 동국역경원
2011-03-17
[88]
웹인용
禪宗(선종)
http://buddha.donggu[...]
운허 & 동국역경원
2011-03-17
[89]
문서
선종
https://ko.wikisourc[...]
[90]
문서
선종
https://ko.wikisourc[...]
[91]
문서
섭론종
https://ko.wikisourc[...]
[92]
웹인용
眞諦(진제)
http://buddha.donggu[...]
운허 & 동국역경원
2011-03-17
[93]
웹사이트
천태종 소개 > 천태종이란
http://www.cheontae.[...]
2011-03-21
[94]
문서
지의
https://ko.wikisourc[...]
[95]
문서
천태종
https://ko.wikisourc[...]
[96]
웹인용
智顗(지의)
http://buddha.donggu[...]
운허 & 동국역경원
2011-03-17
[97]
웹인용
阿毘達磨俱舍論(아비달마구사론)
http://buddha.donggu[...]
운허 & 동국역경원
2011-03-17
[98]
문서
현장
https://ko.wikisourc[...]
[99]
웹인용
成唯識論(성유식론)
http://buddha.donggu[...]
운허 & 동국역경원
2011-03-17
[100]
웹인용
法相宗(법상종)
http://buddha.donggu[...]
운허 & 동국역경원
2011-03-17
[101]
문서
성유식론
https://ko.wikisourc[...]
[102]
웹인용
賢首(현수)
http://buddha.donggu[...]
운허 & 동국역경원
2011-03-17
[103]
문서
화엄종
https://ko.wikisourc[...]
[104]
문서
밀교
https://ko.wikisourc[...]
[105]
웹인용
眞言宗(진언종)
http://buddha.donggu[...]
운허 & 동국역경원
2011-03-17
[106]
백과사전
동양사상 > 동양의 사상 > 중국의 사상 > 송·명의 사상 > 정이
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동양사상/[...]
[107]
백과사전
동양사상 > 동양의 사상 > 중국의 사상 > 송·명의 사상 > 송·명의 사상
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동양사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